본문 바로가기
똑똑정보

노무사도 사용하는 2024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방법

by 마스터 A 2024. 3. 28.

주휴수당을 아직 모르는 근로자가 많습니다. 특히 시간제나 단기 근로자가 이 권리를 제대로 알지 못해 누리지 못하거나 심지어 권리를 알고 있어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2024년에 해당하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한 계산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1. 주휴수당이 뭐야? 빠르게 알아보기

  •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일정 시간(주 15시간) 이상 근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
  • 간단히 말해, 근로자가 일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면 쉬는 날 급여를 받게 되는 거예요.
  • 이를 유급휴일 또는 주휴일이라고도 부릅니다.
  • 이는 근로자가 쉬는 날에도 경제적인 보상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2.  주휴수당이란?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더보기'의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더보기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주정근로일(일주일 동안 근무해야 하는 정해진 근무일)을 모두 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의 소정근로시간을 충족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근로기준법 제55조). 즉. 주휴수당 지급 기준에 부합하면 근로자가 주휴일(유급휴일)에 일하지 않아도 받는 1일분의 임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소정근로시간이란, 근로자와 고용주 사이에 사전에 합의된 주간 또는 월간의 정규 근무시간을 의미해요. 이 근로시간은 근로계약, 근로기준법, 또는 단체협약 등에 의해 결정되며, 근로자가 업무에 투입되는 기본적인 시간을 나타냅니다.

 

정리하면, 대한민국의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고용주는 1주일 동안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최소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을 주어야 하는데요. 이 유급휴일을 주휴일이라고 부릅니다. 이 주휴일에 대해 근로자는 평소 일일 근로에 해당하는 임금을 추가로 받게 되며, 이를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한편, 주휴수당에 대한 의견은 분분합니다. 일각에서는 주휴수당이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이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궁금증: 알바 주휴수당, 월급제 근로자도 받을 수 있나요?

2024년 최저임금과 이에 월 환산액에 따른 주휴수당에 대한 언급
출처: 고용노동부, 2024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24.01.02

  • 월급제 근로자도 원칙적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 이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고
  •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수를 모두 개근하고, 일정 시간(주 15시간) 이상 근무했을 때 지급되는 유급휴일임금 제도이기 때문
  • 하지만 월급제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 쉽게 말해서, 근로자가 한 달 동안 받는 월급에는 그 달에 있을 주휴일에 대한 수당도 이미 계산되어 있다는 거죠.
  • 중요한 건, 일하는 조건이 법이 정한 규칙(근로기준법과 해당 근로계약)에 맞아야 한다는 거예요.
  • 받는 월급이 최저임금보다는 많아야 합니다.
  • 만약 월급이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근로자는 추가 보상을 요구할 수 있어요.
  • 참고자료 1, 참고자료 2

요약하면,

근로계약을 자세히 따져봐야겠지만, 월급제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최저임금을 알 필요는 있다! 왜냐하면 최저임금이 주휴수당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2. 2024년 최저임금 얼마일까요? 

  • 2024년도에는 최저임금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 2023년최저시급이 9620원에서 2024년에는 9860원으로 약 2.5% 인상되었는데요.
  • 이러한 변화는 근로자의 월급과 연봉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최저월급약 5만 원이, 최저연봉 약 60만 원가량 상승했는데요. 이는 주휴수당 계산에도 반영됩니다.
  • 아래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고 나면 이해되실 거예요.

3. 주휴수당 계산법

  • 주휴수당계산은 간단합니다.
  • 1일 소정근로시간에 해당하는 시급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주 5일 근무제에서 하루 8시간씩 근무할 경우, 8시간 x 2024년 최저시급(9860원)으로 계산합니다.
  • 근로시간에 따라 다른 예시는 '더보기'를 참고하세요.
더보기

주휴수당은 기본적으로 "1일의 소정근로시간 x 시급"으로 계산되며, 정확한 계산은 근로시간에 따라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 주 5일을 하루 6시간씩 근무한 경우, 주휴수당은 "6시간 x 시급"으로
  • 주 3일을 하루 8시간씩 근무한 경우, 주휴수당은 "4.8시간 x 시급"으로 계산됩니다(=3일 x 8시간 / 5일).

간단히 말해, 1주 소정근로시간의 약 20%가 주휴수당으로 계산됩니다

단,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일해도 주휴수당은 40시간까지만 인정됩니다.

✅ 2024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아주 간단해요

2024 주휴수당 계산기 쉽게 사용하는 방법
출처: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알바나 단기 근로자들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 근무 시간과 시급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주휴수당까지 고려한 총금액을 쉽게 계산해 줍니다.

요약: 주휴수당 지급기준도 함께 확인하자

  • 주휴수당 지급 기준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지급됩니다.
  • 1주일 동안 근로자가 소정근로일을 충족하고,
  •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 유급 휴일인 주휴일에 대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 주휴수당은 40시간까지 인정됩니다.
  •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여 주휴수당을 확인해 봐요.

✅ 주휴수당이 지급에 제외되는 경우만 한 번 더 간추려 봤어요.

  •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음을 사전에 노사 합의한 경우
  • 근로계약 기간이 1주일 미만인 경우
  • 4주 평균 계산했을 때 1주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
  • 1주일간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하지 못한 경우
  • 주 40시간 근무제에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개근하였지만 지각이나 조퇴를 한 경우
  •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해당 주휴수당 지급 주 다음 주에도 계속 근무해야 지급 가능

 

 

2024 주휴수당 썸네일